공지사항
2023학년도 수시전형, 면접이 가장 중요하다!
< 지금부터 준비합시다!>
◉ 수능 학교별, 학과별 <수시> 면접 준비생 개인별 모집 중
수시면접 <교과전형25% +학생부종합전형60%+수능13%>~ 자기소개, 면접
~ <면접>은 대학입시에서 학교생활기록부와 함께 가장 중요하다.
~ 코로나로 대면 수업이 원활하지 못했다.~
*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자율활동, 진로활동, 봉사활동, 동아리 활동 등)]이 약해졌다.
* 대신 [교과 활동]에 대한 기록인 세부 능력과 특기 사항이 매우 중요 해졌다.
* [학교생활 기록부를 중점 평가] 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 <면접 전형>으로 실시한다.
※ 학생부 종합 전형 [學生簿綜合銓衡]
학생의 학교생활 기록부에 기재된 교과 성적, 비교과 활동, 출결, 교사의 평가,
면접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입학생을 뽑는 일
※ 수시모집 방법 = 학생부 종합전형, 학생부 교과전형, 논술전형, 실기전형이 있다.
※ 2022년도 입시 = 정시로 24%, 수시 76%의 학생을 뽑았다.
※ 수시 76% 중에서 42.9% = 학생부 교과전형으로 뽑았다
※ 2023학년 신입생 모집부터 자기소개서가 사라진다.
~ 따라서 면접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 지금까지 면접에서 보여 줄 수 없는 학생의 역량을 자기소개서를 통해 전달했다.
@ 이제부터 자신의 우수성을 드러낼 도구는 <학생 생활 기록부>와 <면접>이다.
※<면접>에서 남과 다른 역량을 지닌 면모를 드러내야 한다. 그래서 중요하다
☞【생기부의 면접】♥~ 적힌 사실을 바탕으로 면접 진행
1. 생기부에 적힌 사실에 관해 설명할 수 있나?.
2. 학교 활동을 하면서 어떻게 성장했나?
3. 활동을 통한 자신을 알릴 수 있나?
4. 생기부의 객관적인 서술에서 실제적 자신을 이야기 하라.
5. 이 학과에 왜 지원했나? 학과 진학을 위해 어떻게 준비했나?
*제일 많이 보는 것은 해당 학교에 입학해 공부할 능력이 되는가? 가늠하는 전형이다.
☞【학생부 종합 전형 면접】♥~자신의 학생부를 꼼꼼히 들여다보자.
1. 학생부에 적혀 있는 사실의 진위를 넘어 이 활동이 주는 의미가 무엇인가?
2. 이 활동을 하게 된 계기와 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이 무엇인가?
3. 동아리 활동이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중심으로 질문한다.
4. 자신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동아리 활동의 내용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일반 면접】♥ ~ 면접 문제가 공개 되지 않는다.
1. 학과에 지원하게 된 동기는?
2. 지원자의 장, 단점
3. 학과에서 요구하는 기본 소양
☞【제시 문 기반면접】♥
~제시 문을 미리제공하고 이에 대한 의견이나 해결방안을 묻거나 풀게 하는 면접
1. 고등학교교육과정 수준에 맞게 출제된다.
2. 자신이 이 대학에 입학하여 공부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3. 경험적 증거나 타당한 논거, 사고의 전개에서 전후관계 일치,
질문의 핵심을 벗어나지 않는 논리적 사고력.
4. 다양한 관점에서 숨겨진 의미와 사실을 분석하는 비판적 사고력.
5. 문제 해결을 위한 색다른 창의적 사고력.
6. 견해에 대한 일관성과 자신과 다른 관점이나 사회문제에 얼마나 개방적인가 가늠.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