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내용
◀아기 언어 발달에 도움 말▶
아기의 어휘 량은 환경에 따라 좌우되지만 아기를 키우는 부모들의 한 톤 높은 특유의 말투, 따뜻한 격려와 애정, 아기의 신호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따라 후천적으로 언어능력을 배가 시킬 수 있다고 어느 연구학자의 발표 내용을 요약 한 것입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첫째, 말을 많이 해주세요.
아기가 어떤 단어를 익히기 위해서는 수백 번, 수천 번을 들어야만 비로소 그 말을 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되도록 말을 많이 들려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옹알이를 하는 시기에 약간 톤을 높여 “오, 그래?”, “옳지!”, “우리 아기, 예쁘기도 하지.” 등의 대답으로 아기의 옹알이에 적절한 반응을 보여 아기가 부모의 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둘째, 항상 반응해 주세요.
무슨 말을 하는지 도저히 알 수 없다고 해도 아기와 눈을 마주치며 웃어주거나 “우리 아기, 말을 참 잘하는구나.” 라는 식으로 칭찬해 줍니다.
셋째, 스트레스를 주지 마세요.
아기에게 억지로 말하도록 강요하지마시고 아기가 말소리를 잘 따라 하지 못하면 먼저 비언어적인 소리를 따라 하도록 가르칩니다. 예를 들어 비누거품이나 촛불, 또는 깃털을 불거나 뽀뽀하듯 쪽 소리내기, 동물 울음소리 흉내 내기 등을 따라 하도록 해봅니다.
넷째, 스스로 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부모는 아기가 말을 다 마치기도 전에 아기의 말을 가로채어 아기가 말하려는 것을 말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테면 아기가 밥을 먹을 때 미리 물을 주지 말고, 아기가 달라고 표현할 때까지 기다려 아기가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거나 표현이 정확하지 않을 때는 요구를 들어주기 전에 정확한 발음으로 말해준 다음 따라 하도록 가르칩니다.
다섯째, 아기 말에 살을 붙입니다.
아기가“물”을 “무”라고 하면 “물을 줄까?” 하는 식으로 아기가 사용한 말에 살을 붙여서 똑똑한 발음으로 다시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옹알이를 하더라도 아기의 소리를 그대로 따라 하는 것보다는 구체적인 문장으로 완성해서 대답해 주거나 반대로 아기가 옳은 단어나 말을 구사하면 “그래 맞아!”라고 말하면서 칭찬하고 반복해서 말해줍니다.
여섯째, 혼잣말도 도움이 됩니다.
부모가 보고, 듣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아기가 들을 수 있도록 소리 내어 “이게 뭐야? 아, 과자구나. 먹어볼까? 냠냠. 아이, 맛있겠다. 등 아기가 듣는 데서 혼잣말을 하면 아기도 놀면서 소리를 내거나 간단한 말을 하게 됩니다.
일곱째, 속삭이듯 로 말해보세요.
부모가 얼굴을 아이에게 바짝 대고 부모의 말소리를 들을 때 아기의 심장 박동 수는 빨라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나오는 말투는 아기가 새로운 단어를 익히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여덟째, 울면 바로 안아주세요.
엄마가 울고 있는 아기를 안아주면 적당한 신경반사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아기의 호흡에 도움을 주어 호흡기관이 활발하고 바르게 활동하게 되어 아기는 옹알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아홉째, 씹는 연습을 시켜세요.
아기는 생후 8개월이 되면 이가 어느 정도 나기 시작해 여러 가지 종류의 발성을 하게 되고 목소리에도 힘이 생긴 답니다. 이 시기에 씹고 삼키는 연습을 하지 않으면 구강 기관을 움직이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고, 더 이상의 구강 발달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답니다. 당분이 많은 것이나 과자, 시판되고 있는 주스 등은 가능한 피하고, 9개월이 지나면 딱딱한 음식도 먹이면 씹는 힘이 길러지고 말도 쉽게 나온답니다.
열째, 손 놀이를 하게 하세요.
물건을 잡는 능력과 말을 하는 능력은 일치하며 말을 못하는 장애아는 손으로 물건을 쥐는 능력이 늦게 발달한답니다. 아기의 손에 물건을 놓아주어 물건을 두드리게 하고, 종이를 찢게 하고, 연필과, 가위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아기의 언어 발달을 촉진시킨답니다.
열한 번째, 책을 자주 읽어주세요.
책 읽어주기를 통해 아기에게 말과 글을 가르치는 학습 효과뿐만 아니라 아기와의 정서적 유대관계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답니다. 책을 읽어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기가 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이를 위해서는 되도록 리듬감을 많이 표현하며 책을 읽어주는 것이 좋고 같은 책을 반복해서 읽을 때는 매번 똑같은 곡조로 읽어주는 것이 좋답니다.
******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아기의 어휘 량은 환경에 따라 좌우되지만 아기를 키우는 부모들의 한 톤 높은 특유의 말투, 따뜻한 격려와 애정, 아기의 신호에 대한 부모의 반응에 따라 후천적으로 언어능력을 배가 시킬 수 있다고 어느 연구학자의 발표 내용을 요약 한 것입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첫째, 말을 많이 해주세요.
아기가 어떤 단어를 익히기 위해서는 수백 번, 수천 번을 들어야만 비로소 그 말을 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되도록 말을 많이 들려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옹알이를 하는 시기에 약간 톤을 높여 “오, 그래?”, “옳지!”, “우리 아기, 예쁘기도 하지.” 등의 대답으로 아기의 옹알이에 적절한 반응을 보여 아기가 부모의 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둘째, 항상 반응해 주세요.
무슨 말을 하는지 도저히 알 수 없다고 해도 아기와 눈을 마주치며 웃어주거나 “우리 아기, 말을 참 잘하는구나.” 라는 식으로 칭찬해 줍니다.
셋째, 스트레스를 주지 마세요.
아기에게 억지로 말하도록 강요하지마시고 아기가 말소리를 잘 따라 하지 못하면 먼저 비언어적인 소리를 따라 하도록 가르칩니다. 예를 들어 비누거품이나 촛불, 또는 깃털을 불거나 뽀뽀하듯 쪽 소리내기, 동물 울음소리 흉내 내기 등을 따라 하도록 해봅니다.
넷째, 스스로 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부모는 아기가 말을 다 마치기도 전에 아기의 말을 가로채어 아기가 말하려는 것을 말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테면 아기가 밥을 먹을 때 미리 물을 주지 말고, 아기가 달라고 표현할 때까지 기다려 아기가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거나 표현이 정확하지 않을 때는 요구를 들어주기 전에 정확한 발음으로 말해준 다음 따라 하도록 가르칩니다.
다섯째, 아기 말에 살을 붙입니다.
아기가“물”을 “무”라고 하면 “물을 줄까?” 하는 식으로 아기가 사용한 말에 살을 붙여서 똑똑한 발음으로 다시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옹알이를 하더라도 아기의 소리를 그대로 따라 하는 것보다는 구체적인 문장으로 완성해서 대답해 주거나 반대로 아기가 옳은 단어나 말을 구사하면 “그래 맞아!”라고 말하면서 칭찬하고 반복해서 말해줍니다.
여섯째, 혼잣말도 도움이 됩니다.
부모가 보고, 듣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아기가 들을 수 있도록 소리 내어 “이게 뭐야? 아, 과자구나. 먹어볼까? 냠냠. 아이, 맛있겠다. 등 아기가 듣는 데서 혼잣말을 하면 아기도 놀면서 소리를 내거나 간단한 말을 하게 됩니다.
일곱째, 속삭이듯 로 말해보세요.
부모가 얼굴을 아이에게 바짝 대고 부모의 말소리를 들을 때 아기의 심장 박동 수는 빨라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나오는 말투는 아기가 새로운 단어를 익히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여덟째, 울면 바로 안아주세요.
엄마가 울고 있는 아기를 안아주면 적당한 신경반사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아기의 호흡에 도움을 주어 호흡기관이 활발하고 바르게 활동하게 되어 아기는 옹알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아홉째, 씹는 연습을 시켜세요.
아기는 생후 8개월이 되면 이가 어느 정도 나기 시작해 여러 가지 종류의 발성을 하게 되고 목소리에도 힘이 생긴 답니다. 이 시기에 씹고 삼키는 연습을 하지 않으면 구강 기관을 움직이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고, 더 이상의 구강 발달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답니다. 당분이 많은 것이나 과자, 시판되고 있는 주스 등은 가능한 피하고, 9개월이 지나면 딱딱한 음식도 먹이면 씹는 힘이 길러지고 말도 쉽게 나온답니다.
열째, 손 놀이를 하게 하세요.
물건을 잡는 능력과 말을 하는 능력은 일치하며 말을 못하는 장애아는 손으로 물건을 쥐는 능력이 늦게 발달한답니다. 아기의 손에 물건을 놓아주어 물건을 두드리게 하고, 종이를 찢게 하고, 연필과, 가위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아기의 언어 발달을 촉진시킨답니다.
열한 번째, 책을 자주 읽어주세요.
책 읽어주기를 통해 아기에게 말과 글을 가르치는 학습 효과뿐만 아니라 아기와의 정서적 유대관계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답니다. 책을 읽어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기가 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이를 위해서는 되도록 리듬감을 많이 표현하며 책을 읽어주는 것이 좋고 같은 책을 반복해서 읽을 때는 매번 똑같은 곡조로 읽어주는 것이 좋답니다.
******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